LOGO

돋보기

지난해 창업한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359곳 (2020-02-28)

전년 대비 7.8% 증가…의약품 비중 가장 높아

정부가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바이오산업에 대한 중소·벤처기업들의 관심이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발표한 ‘2018년 국내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창업한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은 359곳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333개) 대비 7.8% 증가한 수치다. 

창업한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의약품 분야가 229곳(64%)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진단 의료기기 58곳
(16%), 지원서비스 28곳(8%), 화학 18곳(5%) 순이었다.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창업 붐은 지난 2000년 302곳을 기록한 이후 매년 100~200여 곳의 기업이 설립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다시 300곳이 신설됐으며, 2016년에는 514곳이 창업하며 정점을 찍은 이후 지난해까지 창업 열풍이 다시 이어지고 있다. 지난 4년간 창업한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은 1,509곳에 달한다. 

국내 바이오벤처 1호 기업인 바이오니아가 설립된 1992년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국내에 설립된 전체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은 총 2,519곳이다. 이중 폐업한 542곳을 제하면 현재 유지되고 있는 기업은 1,977곳으로 조사됐다. 

분야별로는 그린바이오(농업, 식품)가 649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레드바이오(의약품, 진단의료기기)가 554곳, 화이트바이오(화학, 환경, 에너지)가 390곳, 플랫폼이 384곳을 차지했다. 

그린바이오 분야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업체(185곳), 레드바이오는 진단의료기기업체(178곳), 화이트바이오는 화장품업체(175곳)가 가장 많이 분포됐다. 


기업공개 바이오 중소·벤처 158곳
현재 국내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1,977곳 중 기업공개 경험이 있는 기업은 158곳이었다. 이중 코스닥 114개, 코넥스 37개, 유가증권시장 2개 기업이 상장됐다. 

기업공개 경험이 있는 158개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의 창업 후 기업공개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적으로 약 10.4년 소요됐다. 분야별로는 진단의료기기, 농업, 식품 분야가 평균보다 길게 소요됐으며 의약품, 화학, 환경, 에너지, 지원서비스 분야는 비교적 기간이 짧았다.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의 창업 형태를 살펴보면 제약사 등 기업 출신이 727곳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근무 후 창업(180곳), 바이오 중소·벤처 기업에서 근무 후 창업(135곳)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의 분야별 평균 매출액을 살펴보면 가장 높은 분야는 의약품 분야(129억 원)였으며 진단의료기기(104억 원), 식품·화학(90억 원), 환경(82억 원) 순이었다. 의약품과 진단의료기기는 전체 평균 매출액을 상회했지만, 나머지 분야는 전체 평균보다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균 영업이익은 식품 분야(6.7억 원)가 가장 높았다.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의 지역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에 가장 집중돼 있었다. 경기도가 507곳으로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360곳, 대전 159곳, 강원 143곳, 충북 137곳 순이었다. 특히 의약품의 경우 지역 집중도가 더욱 높았는데 경기도가 118곳, 서울이 102곳, 대전이 33곳 자리잡고 있었다. 진단의료기기 역시 경기도가 61곳, 서울이 51곳을 차지했다.

지난해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의 총 근로자는 5만 3,186명이며 기업 당 평균 근로자 수는 29.7명으로 집계됐다. 분야별로 의약품 분야의 근로자 수가 기업당 평균 43명(2017년 40명), 진단 의료기기는 32.9명(2017년 34.5명)이었다. 


정부 R&D 지원 더욱 확대
정부도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R&D 지원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올해 상반기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857억 원)과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과제(888억 원)에 참여할 기업을 지난 2월 17일부터 모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4,885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예산 증액과 더불어 혁신 역량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적극 뒷받침하기 위해 기존 단기·소액 중심 지원체계에서 벗어나 지원기간과 규모를 확대해 기업당 최대 3년 이상, 최대 20억 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중기부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수준에 맞는 전략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사업별 기술개발 기간·규모에 차등을 두는 등 R&D 지원체계도 개편했다.

이에 따라 R&D를 ▲기업이 주관하는 단독형 ▲산·학·연 협력형 ▲정책적 필요성을 반영한 정책목적형으로 구분해 지원한다. 이 중 창업성장 기술개발사업과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은 단독형 R&D로 매출액 구분, 동시수행 제한, 졸업제 시행 등을 적용해 전략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 중기부는 제품의 사업화를 위해 R&D 기획 단계부터 규제 컨설팅을 연계한 기술개발 지원사업도 시행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활동단계(기술개발, 제품생산, 판매·마케팅)별 기술규제의 적시 대응 및 안전·성능·환경 등 관련 인증취득을 통해 기술개발제품의 신속한 사업화 및 행정비용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최민호 기자fmnews@fmnews.co.kr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HOT NEWS 더보기

마케팅신문
다이렉트셀링

오늘의 날씨 및 환율

booked.net
+27
°
C
+27°
+22°
서울특별시
목요일, 10
7일 예보 보기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