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돋보기

CEPI, 신종 감염병 대응 위해 질병관리청과 양해각서 체결 (2024-05-31)

한국 내 기존 파트너십 구축, 글로벌 팬데믹 대비 지원


코로나19를 계기로 감염병혁신연합(CEPI)은 글로벌 보건 전문가들과 한국의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과 함께 미래의 치명적인 감염병 발생으로부터 한국과 세계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지난 528CEPI(대표 리처드 해쳇)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보건총회(WHA)에서 질병관리청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백신 및 기타 공중 보건 위협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약속했다. 여기에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에볼라 바이러스, 엠폭스와 같이 잘 알려진 감염병과 향후 발생 가능성이 있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병원체 '질병 X'도 포함된다.
 

CEPI 해쳇 대표는 파괴적인 코로나19 대유행에 대비한 생명을 살리는 백신과 약물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협력이 필수적이다. 불행하게도, 새로운 감염병, 심지어 새로운 팬데믹은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다. 우리는 다음 질병 X’에 대비하기 위해 계속해서 파트너십과 서로의 전문 지식을 계속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CEPI
와 질병관리청은 과학연구 프로젝트와 실험실 역량 구축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또한 양측은 병원체 및 최첨단 전염병 대응 기술(:mRNA 플랫폼 및 인공 지능)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여 공동 대응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협력은
CEPI100일 미션을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CEPI가 주도하고 한국 및 G20 국가들이 채택한 100일 미션은 국가들의 백신 개발을 병원체 확인 후 약 100일로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COVID-19 백신을 개발하는 데 걸린 시간의 약 3분의 1수준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이 더 빨리 개발되고 배포될수록 다가오는 팬데믹을 더 빨리 억제하고 통제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최대한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신종 감염병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이 필수적이라며 “CEPI와 같은 단체들과 국제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우리는 다음 팬데믹을 성공적으로 대비하고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 CEPI는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 대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에 설립된 이래, 신종 바이러스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제 협력을 통해 새로운 백신 개발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 정부는 2020년부터 감염병 및 팬데믹 퇴치를 촉진하기 위해 CEPI3,300만 달러를 기여해왔다.



 

최민호 기자fmnews@fmnews.co.kr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HOT NEWS 더보기

마케팅신문
다이렉트셀링

오늘의 날씨 및 환율

booked.net
+27
°
C
+27°
+22°
서울특별시
목요일, 10
7일 예보 보기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