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돋보기

우크라이나 국내 제약사 새로운 기회의 땅 (2019-05-24)

제약시장 과도기적 상황…제네릭·일반약 접근성 풍부


과도기에 들어선 우크라이나 제약시장

우크라이나 제약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31.3억 달러 규모로, 향후 연평균 6.7% 이상 꾸준히 성장해 2023년 약 43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우크라이나 의약품 지출액은 전체 보건의료 지출의 46.1% 및 GDP의 2.54%를 차지하고 있다.

1인당 의약품 지출액은 2015년 약 50.1달러에서 지난해 71.1달러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주변국에 비해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지난해 전문의약품의 매출은 전체 제약시장 매출의 64.3%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오리지널의약품은 32.7%, 제네릭의약품은 67.3%를 각각 점유했다. 일반의약품의 경우 시장에 35.8% 수준이다. 

그동안 우크라이나는 경제 불황과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국민들이 힘겨운 삶을 이어가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의약품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 경제 안정이 이뤄진다면 해외 기업들에게도 진출하기 좋은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우크라이나는 거시경제 측면에서의 여러 불안 요소들이 경제적 위험성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인 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정치적 불안요소가 될 수 있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보건의료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약시장도 과도기적 상황에 놓여 있다. 정부는 제약시장에 대한 개혁 방향을 국민들의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의약품 비용 지불에 대해 개인 부담률이 75% 이상으로 매우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보건의료에 대한 정부 재정을 높여 이를 낮추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2017년 의약품 상환 제도에 대한 확대를 추진했으며, 의약품 등록과 의약품 품질 관리 절차 전반에 대한 규제 환경 개선을 진행 중이다. 올해 1월 우크라이나 보건부는 2020년부터 의약품 상환 정책의 실시 확대를 발표했다. 하지만 여전히 자금 조달 방식 등 우크라이나의 의료 개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지에 대한 여러 가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지난해 12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거시 경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IMF로부터 39억 달러의 구제 금융을 14개월에 걸쳐 지원받기로 했다. 이를 통해 경제 정책 변화와 보건의료 및 연금제도를 개혁하는 정책에 가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제약업체들이 우크라이나에 진출을 주저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현지 정치•사회적 불안정 때문이다. 우크라이나군과 친러시아 분리주의자들과의 갈등은 자국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수출 감소에 따른 경상수지 적자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대통령 선거는 중대한 정치적 불확실성을 야기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구조적인 개혁과 거시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의회가 EU와 NATO 가입 노선을 명문화 한 개헌안을 승인했지만, 이는 낙선한 페트로 포로센코 전 대통령의 주도로 이루어진 것으로 실행 여부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자 증가 국내 제약업계 주목

이런 우려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 제약시장의 경쟁력은 매우 높으며, 다국적기업과 로컬기업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약 600개의 외국 기업들이 시장에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대부분이 제네릭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을 판매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상대적으로 높은 인구수는 국내 제약업계에 분명한 기회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 우크라이나도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제약시장성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우크라이나 의약품관리국(SMDC)은 의약품에 대한 품질, 안전 및 허가에 대한 전반적인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2011년 1월 우크라이나는 PIC/S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이는 의약품 규제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우크라이나에 진출하는 제약기업들에게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PIC/S 회원국이 됐다는 것은 해외 제조 의약품에 대한 등록, 우크라이나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한 국제 인증 등이 용이해짐을 뜻한다.

지난 2016년 10월 우크라이나 보건부는 제약산업 개혁을 위해 ▲국외 의약품 품질 개선•합리적 사용 ▲의약품 재정 확보 ▲의약품 접근성 확대를 위한 국가 의약품 정책 수립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필요한 해외 의약품의 구입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며, 의약품 상환 제도의 개혁을 통해 의약품 보급의 확산을 꾀하고 있다. 또 2016년 법적 정의 및 제도적 입법 체계를 구성하고(1단계), 2016~17년 조직 및 임원 구성, 의약품 조달에 대한 권한 실행(2단계), 2018년 UNICEF에서 중앙구매기구(CPO)로의 구매 전환을 진행했다.

이 방식은 다국적 제약기업에 대해서는 가격 경쟁으로 인해 압박을 가해 이익을 감소시키지만, 우크라이나 의약품 시장에서의 매출은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돼 장기적으로 현대적인 조달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우크라이나 국민건강보험은 20억 달러를 투자해 올해 7월부터 58개의 진단 및 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상 진료 서비스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의료보험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추가적인 의료서비스가 국민건강보험으로 통합됨에 따라, 개인의 과도한 의료부담율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우크라이나의 의료시스템은 비집중화돼 있어 정부가 정책 결정을 하지만 27개의 지방 보건행정기구에 의해서 예산이 운영되는 시스템이다. 보건의료 예산은 주로 세금에 의한 것이지만, 1인당 소득액이 낮아 전체 예산을 감당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결국 우크라이나 정부는 보건의료 예산 부담을 줄이고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고가의 혁신의약품이나 신약보다는 제네릭의약품(복제의약품)에 대한 처방을 선호할 것이고, 이는 결국 국내 제약업계가 진출할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에 진출한 국내 제약사들은 ▲대웅제약, SCFitfarm社와 바이오의약품 수출 공급을 위한 전략적 제휴 양해 각서 체결(2014) ▲대웅제약, 성장호르몬 ‘케어트로핀’과전용주사기제품수출(2014) ▲동아ST, 게로팜社와 자체 개발 당뇨병치료제 ‘에보글립틴’의 기술 수출 계약 체결을 통해 우크라이나 임상•허가•판매 진행(2015)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소염진통제 ‘클란자CR정’ 임상시험 완료 및 시판 허가 획득(2016.12) ▲대웅제약, 보툴리눔톡신제제 ‘나보타’ 수출(2018.12) 등 이다.

<자료 참조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최민호 기자fmnews@fmnews.co.kr

※ 저작권자 ⓒ 한국마케팅신문.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HOT NEWS 더보기

마케팅신문
다이렉트셀링

오늘의 날씨 및 환율

booked.net
+27
°
C
+27°
+22°
서울특별시
목요일, 10
7일 예보 보기
사진